성공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좋은 습관 중에는

1. 아침에 일어나, 잠자리 정돈하기.

2. 운동하기.

 

그리고 무엇보다,

 

3. 자신이 바라는 모습을 생생하게 시각화해서 상상하고

끌어당김의 법칙을 활용하는 좋은 습관 장착하기!

 

가 공통적으로 들어 있다.

 

유튜버 하와이대저택님의 영상도

그런 이야기들을 많이 다루고 있다.

 

자신도 끌어당김의 법칙을 구체적으로 습관화해서

바라는 모습으로 성공을 이뤘다고 한다.

 

 

비욘세

 

 

 

<중요한 습관 만들기>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적인 습관은
끌어당기는 습관이다.


성공하는 사람은 소수이고
이 습관도 소수의 사람들만 지니고 있다.


이 습관을 장착하게 되면
완전히 다른 인생을 살게 된다.


이 습관을 몇달간 지속한 후, 삶이 달라졌다-
살면서 꿈도 꾸지 못할만한 직장에 합격했다- 라는 

실제 피드백들을 엄청나게 받았다.


조성진 피아니스트는 피아노 왕초보가 아니라
쇼팽 콩쿨을 준비하는 전공생들에게 더 도움이 될 것이고,
피아노를 배우는 초심자에게는 피아노 선생님이 필요하듯


재벌이나 조만장자, 기업가도 아니었지만
평범한 취준생, 직장인에서 지금은 파이어족으로 살고 있는 하와이대저택님은

자신이 직접 겪고 해 본 경험담이 더 도움이 될 거라고
(평범한 사람이고 동네 피아노 선생님 같은..) 말한다.


이 끌어당김의 습관으로
원하는 걸 현실로 만들었다는 것이니
여러분도 할 수 있다는 가장 강력한 증거가 될 거라는 것.


끌어당김의 법칙으로 가장 유명한 책 론다 번의 <시크릿> (2007년에 나옴) 에서도


상상하기.


그리고
감사하기.


이 두 가지를 매일 반복해서 습관으로 만들라고 말한다.



끌어당김은 거울이다.



이미 원하는 걸 가졌을 때의 느낌.

 

 

 


긍정적인 기분과 에너지로 가득 차 있다면
거울에 비친 그 모습처럼 그걸 그대로 끌어당기게 된다.
이것이 상상으로 시각화를 하는 핵심 이유다.


그렇게 원하는 걸 가졌을 때의 느낌은?

기쁘고 뿌듯하고 감사할 것이다.

그 느낌을 미리 느끼는 것이다.



되면 그때 감사할 거야- 
이런 태도가 끌어당김이 안되게 하는 가장 결정적인 마인드다.

 

 

 


매일 수백번씩
"고맙습니다."를 외쳤다는 아인슈타인은

이 법칙을 잘 알고 있었다.



우리가
명상을 하며 원하는 모습을 상상하고
감사일기도 쓰는데
이런 걸 하고 나서 삶이 바뀌었다
몰라보게 달라졌다-

라는 경험담들이 많다.


끌어당기는 습관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좋은 파동을 불러들이고

실제로 좋은 일이 생기는 것이다.


스스로 실천하고 성공한 경우는 실제로 일일이 다 말하기 힘들 정도로 너무 많다.


흙수저에서 자수성가 조만부자가 된 두 분

바로

돈의 속성의 저자 김승호 회장.
웰씽킹의 저자 켈리최 회장이다.


우리나라에서 끌어당기는 습관으로 가장 크게 성공한 사례라 할 수 있고
해외로 가면 
더욱 셀 수도 없이 많다.



누구나 다 아는 헐리웃의 셀럽들 중에서도 
끌어당김의 습관을 통해 성공할 수 있었다는 인터뷰들이 많다.


자수성가한 기업가들 중에서도 사례가 정말 많다


요즘 소셜을 통해 끌어당기기 효과에 대해 이야기하는
사람들 중 하나로
뼈때리는 말들 잘 하기로 유명한
조만장자 사업가 그랜드 카돈.

켈리최 회장이 인터뷰했던 그랜드 카돈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효과가 없던데요?

하는 분들은 왜일까?


책 <시크릿>에서는
당신의 목표가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못하게 막을 수 있는
존재는 오직 하나뿐이고
그 존재는 바로 애초에 목표를 말한 당신 자신이다.

라고 말한다.


효과가 없는 이유는 딱 하나.
너무 성급하기 때문이다.


땅 밑에서 싹을 틔우고 땅 위로 올라오려고 하고 있는데


겉 표면만 보고
'뭐야 효과 없잖아-' 라고 생각하면서 대부분 그냥 가버린다.


효과가 없다는그 생각이
효과 없음을 끌어당겨서

실제로 정말로 효과가 없게 되는 것이다.


진짜 이게 되나? 하는 셀프 의심하면서
시각화도 해보고 일종의 테스트 같은 느낌으로 하는 경우


그렇게 마음 속에 의심하는 생각이 자리잡고 있다면
그 의심하는 생각은 당연히 부정적인 결과를 끌어당기게 되는 것이다.

끌어당김의 법칙은
되면 좋고 아니면 말고- 가 아니다.



습관으로 하는 것이다
끌어당기는 습관을 만들어야 한다.




이루어지는데 얼마나 걸리는가?



당신이 얼마나 끌어당김의 법칙을 습관화해서 
잘 활용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


한번 해 보고 되면 좋고 아니면 말고
이렇게 시험삼아 해보는 게 아니라
일상에 습관으로 자리잡아야 한다.


습관으로 자리잡아서 시각화나 감사하기 같은 것들이 원활하게 잘 되어야 한다


조용한 곳에서 눈을 감고
원하는 걸 떠올리고 시각화 할때
시각화나 감사하기가 습관으로 자리 잡아서 원활하게 잘 되어야 하는데
처음엔 어색하고 습관이 안돼서 바쁘게 하루하루 지내다보면
까먹게되고 잘 안되고...그럴 수 있다.


이루어지는데 얼마나 걸리는지- 그걸 정하는 건 사실
자기 자신이다.


스스로 기준을 정했고 스스로 그걸 끌어당기는 것이다.


이건 작은 거니까, 이번주 안에-
이건 좀 큰 거니까, 올해 안에-
이런 규칙은 스스로 정하는 것이고

자연에는, 우주에는 이런 규칙이 애당초 없다.


우주에는 시간도 크기도 무의미하기 때문에
천원이든 십억이든
인간에게나 구분하는 의미가 있지
우주에는 똑같다
시크릿에도 나온다


다만
천원이 십억보다 빨리 나타나는 이유는
당신이 십억은 큰돈이니까 오랜 시간이 걸릴 거라고 여기고
천원은 오늘 바로 나타날 거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마흔살에 10억 빚이 있었던 켈리 최 회장


그녀는
시크릿 을 100번 넘게 읽고 습관화해서
아주 구체적인 시기까지
특정해서 끌어당김을 했다.
"내가 5년 안에 300억을 벌겠다"라고.


보통 우리 인간의 개념으로는
마흔살에 10억 빛이 있는데 5년 안에 300억을 벌겠다는목표가, 끌어당긴다고 끌어당겨지나-  생각되기 쉽다.


그런데 켈리 최 회장은 오히려 초과달성을 했다.


이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도
스스로 정하고 끌어당기는 거다.


강하게 끌어당기고 싶다면 끌어당기는 습관이 우선이다.

습관이 되면 익숙해지고
익숙해진만큼 더 자연스럽고 강하게 끌어당길 수 있다.


 

 


근현대사에서 끌어당김의 법칙을 가장 명쾌하게 표현했던 분은

밥 프록터

 


"끌어당김의 법칙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믿지 않을 필요는 없다. 여러분은 전기를 이해하지 못할 수 있지만 전기의 혜택을 누린다.
나도 전기가 어떻게 작동하고 만들어지는지 여전히 이해할 수 없지만 전기로 저녁을 만들 수 있다는 건 알고 있다."

- 밥 프록터

 

 

해 본 분들.

그렇게 성공한 분들이

입을 모아 하는 말.



꼭 해보세요 !!


 

실제로 놀라온 사례들이 많다.

하와이대저택님도

이미 디엠으로 100분이 넘는 분들께 피드백을 받았다고 말한다.

 

독하게 마음 먹고

꼭 해보자!

 

우리 모두 화이팅!!

 

 

+ Recent posts